맨위로가기

배출권 거래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출권 거래제는 대기 오염 감소를 위한 시장 기반 규제 방식 중 하나로,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 총량을 제한하고(Cap), 기업들이 배출권을 거래(Trade)하도록 하여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제도이다. 1960년대에 개념이 정립된 이후, 미국 산성비 프로그램에서 처음으로 시행되었으며, 현재는 유럽 연합, 중국,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다. 캡 앤 트레이드, 베이스라인 앤 크레딧 방식 등이 있으며, 배출권 할당 방식에 따라 그랜드파더링, 경매, 벤치마크 방식 등이 활용된다. 배출권 거래제는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감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지만, 배출 할당량 설정의 어려움, 핫 에어 문제, 형평성 문제 등의 비판과 과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출권 거래제 -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기준을 속이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음을 밝혀내어 환경 오염과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했으며, 폭스바겐 CEO 사임, 주가 폭락, 벌금, 손해배상, 리콜 사태를 초래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배출권 거래제 - 자전거 타기
    자전거 타기는 19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운송, 레크리에이션, 스포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건강 증진, 환경 보호에 기여하지만, 매연 노출, 안전 문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기후 변화 정책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기후 변화 정책 - 그린뉴딜
    그린뉴딜은 기후 변화 대응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으로, 1930년대 뉴딜 정책에서 유래되었으며,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와 탄소 중립 목표 설정을 포함하지만, 목표 달성 및 비용, 사회적 갈등과 관련하여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 환경 논란 -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기준을 속이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음을 밝혀내어 환경 오염과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했으며, 폭스바겐 CEO 사임, 주가 폭락, 벌금, 손해배상, 리콜 사태를 초래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환경 논란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배출권 거래제
배출권 거래제
전 세계 배출권 거래 제도
전 세계 배출권 거래 제도
개요
유형시장 기반 접근법
목적오염 통제
작동 방식배출량 제한 및 거래 허용
관련 개념탄소 가격
특징
장점비용 효율적인 오염 감소
기술 혁신 장려
유연성
단점초기 설정의 어려움
시장 조작 가능성
배출권 가격 변동성
전 세계 현황
주요 시행 국가/지역유럽 연합
미국
캐나다
대한민국
중국
인도
관련 기구유럽 연합 배출권 거래제(EU ETS)
캘리포니아 주 배출권 거래제(California Cap-and-Trade Program)
관련 법규
대한민국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기타
참고탄소 배출권
탄소 상쇄
녹색 경제
기후 변화 정책

2. 역사적 배경

배출권 거래제의 개념은 1960년대 로널드 코스[24], 크로커(Crocker)[25], 데일스(Dales)[26], 몽고메리(Montgomery)[27] 등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립되었다. 1967년부터 1970년 사이에는 앨리슨 버튼(Ellison Burton)과 윌리엄 샌조어가 미국 국립 대기 오염 통제 관리국을 위해 수행한 미시 경제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대기 오염 감소 방식의 효율성이 처음 입증되었다.[14][15][16][17][18] 이들은 여러 도시와 배출원을 수학적 모델로 만들어 다양한 통제 전략의 비용과 효과를 비교했고,[19] 그 결과 최소 비용 솔루션이 기존 완화 전략보다 훨씬 저렴하게 오염 감소를 달성함을 발견했다.[19]

1977년 미국 청정 대기법에서 "상쇄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배출권 거래가 처음 개발되었는데,[28] 한 회사는 다른 회사에 동일 오염 물질을 줄이도록 지불하면 법률에 따라 더 많은 배출 허용량을 얻을 수 있었다.[28] 1990년에는 산성비 프로그램의 일부로 최초의 "캡 앤드 트레이드" 시스템이 시작되었으며,[23] 이는 1990년 청정 대기법의 제목 IV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 전반부터 미국에서 황산화물 배출권 거래가 이루어졌다. 이는 국내 배출권 거래 제도로, 대기 오염이나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황산화물(SOx) 배출량을 할당한 후, 할당량 미만으로 배출량을 감축한 사업자는 남은 배출권을 할당량을 초과한 사업자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

미국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토 의정서 제정 협상 당시 배출권 거래 제도 도입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2. 1. 국제적 발전

1997년 교토 의정서 채택으로 국제적인 탄소 배출권 거래가 시작되었고, 대한민국은 교토 메커니즘에 참여하여 국제적 감축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교토 의정서는 부속서 I 당사국 (교토 의정서#서명·당사국 수의 서명 및 체결을 한 국가 중 *가 붙은 국가) 간의 '''탄소 크레딧''' (Carbon Credit) 거래를 허용한다.

탄소 크레딧은 다음 4종류가 있다.

종류설명
초기 할당량 (Assigned Amount Unit, AAU)각국이 가진 배출 할당량에 대한 삭감량
흡수량 (Removal Unit, RMU)각국이 흡수원 활동으로 얻은 양
인증 배출 감축량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CER)청정 개발 체제 사업으로 얻어진 유엔 인증 크레딧
배출 감축 유닛 (Emission Reduction Units, ERU)공동 이행 사업으로 얻어진 양



탄소 상쇄 등에 사용되는 인증 배출 감축량 (CER)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구 온난화 대책 기술·자금 원조 스킴인 청정 개발 체제 (CDM)의 규칙에 따라 온실 가스를 감축하고, 그 배출 감축량에 기초하여 발행되는 유엔 인증 크레딧이다. 인증은 제3자 인증 기관이 실시한다.

부속서 I 당사국이나 그 국내 기업 등은 배출 할당량 배분을 받는다. 탄소 크레딧을 감안한 최종 배출량이 배분된 배출 할당량을 밑도는 국가나 기업과, 탄소 크레딧을 감안한 최종 배출량이 배분된 배출 할당량을 초과하는 국가나 기업 간에 배출 할당량을 매매할 수 있다.

2. 2. 한국의 도입 및 발전

한국은 2015년부터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더불어민주당 정부의 기후 변화 대응 정책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한국의 배출권 거래제는 기업들의 온실 가스 감축 노력을 유도하고,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선언하고, 배출권 거래제를 강화하여 이 목표를 달성하고자 노력했다.

3. 주요 특징 및 작동 원리

오염은 시장 외부성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외부성은 어떤 활동이 해당 활동과 관련된 시장 거래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다. 배출권 거래제는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장 기반 접근 방식이다. 배출권 거래 제도의 전반적인 목표는 설정된 배출량 목표를 달성하는 데 드는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8]

배출권 거래 시스템에서 정부는 배출량에 대한 전체 한도를 설정하고, 전체 한도 수준까지 배출할 수 있는 제한된 권한인 허가(할당량이라고도 함)를 정의한다. 많은 계획에서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조직도 허가 및 허가의 파생 금융 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10] 일부 계획에서는 참가자가 미래 기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량을 저축할 수 있다.[11]

일부 계획에서는 거래된 모든 허가의 비율을 주기적으로 폐기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출량을 순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환경 단체는 허가를 구매하여 폐기함으로써 수요의 법칙에 따라 나머지 허가 가격을 올릴 수 있다.[12] 대부분의 계획에서 허가 소유자는 비영리 단체에 허가를 기부하고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부는 국가 배출량 감축 목표를 목표로 전체 한도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춘다.[8]

여러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한 활발한 거래 프로그램이 있다. 이전 적용 사례는 미국 전국 시장에서 산성비를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미국은 현재 질소 산화물에 대한 여러 지역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13]

3. 1. 캡 앤 트레이드 (Cap and Trade)

배출권 거래제의 핵심 방식은 "캡 앤 트레이드" (Cap and Trade) 방식이다. 여기서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 총량을 제한(Cap)하고, 기업들은 할당된 배출권 범위 내에서 배출하거나, 남는 배출권을 다른 기업에 판매(Trade)할 수 있다.[9]

정부는 배출량에 대한 전체 한도를 설정하고, 전체 한도 수준까지 배출할 수 있는 제한된 권한인 허가(할당량)를 정의한다. 정부는 허가를 판매할 수 있지만, 많은 기존 계획에서는 각 참가자(규제 대상 오염자)에게 각 참가자의 기준 배출량과 동일한 허가를 부여한다. 기준선은 참가자의 과거 배출량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참가자는 해당 기간 동안 실제로 배출한 오염 물질의 양과 같거나 그 이상의 허가를 보유해야 한다. 모든 참가자가 준수하는 경우, 배출된 총 오염 물질은 개별 한도의 합과 같거나 그 이하가 된다.[9]

허가는 사고 팔 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은 허가를 정확하게 사용하거나, 허가보다 적게 배출하고 잉여 허가를 판매하거나, 허가보다 많이 배출하고 다른 참가자로부터 허가를 구매할 수 있다. 실제로 구매자는 오염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판매자는 배출량을 줄인 것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9] 이 제도는 경제적 비용을 생산 비용에 포함시켜 기업이 탄소 가격과 온실 가스(GHG)를 포함하는 모델로 투자 수익 및 자본 지출 결정을 고려하도록 장려한다.

많은 계획에서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조직도 허가 및 허가의 파생 금융 상품을 거래할 수 있다.[10] 일부 계획에서는 참가자가 미래 기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량을 저축할 수도 있다.[11]

상한(캡)을 설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국가나 행정 단위별로 배출량 총량을 정하고, 산업별, 기업별로 점차 세분화하는 방식.
  • 각 기업·산업별로 이상적인 배출량을 정하고, 국가·행정 단위의 배출량 총량을 정하는 방식(부문별 접근 방식).


배출 쿼터 할당에는 크게 3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 그랜드파더링 - 감축을 하지 않는 경우의 배출량 또는 과거 배출량을 기준으로 무상으로 할당하는 방식.
  • 경매 - 경매를 통해 유상으로 할당하는 방식.
  • 벤치마크 - 이상적인 표준 배출량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상으로 할당하는 방식.

3. 2. 베이스라인 앤 크레딧 (Baseline and Credit)

이 방식은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수행하지 않거나 사업 전 단계의 배출량(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이를 감축한 만큼 크레딧을 발행하여 거래하는 방식이다.[51]

이 방식에서는 배출 할당량을 초과하여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되어 크레딧을 구매해야 하는 기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부 등이 일률적으로 크레딧의 대가를 지불할 필요가 있다.

3. 3. 할당 방식

배출권 할당 방식에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 그랜드파더링(Grandfathering): 감축을 하지 않는 경우의 배출량 또는 과거 배출량을 기준으로 무상 할당하는 방식이다.
  • 경매: 경매를 통해 유상으로 할당하는 방식이다.
  • 벤치마크(Benchmark): 이상적인 표준 배출량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상 할당하는 방식이다.[9]

3. 4. 경제학적 분석

코스 정리(Coase Theorem)에 따르면, 배출권 거래제는 재산권 할당 방식과 관계없이 시장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33] 배출권 거래는 기업들에게 배출량 감축에 대한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감축 비용이 낮은 기업이 더 많은 감축을 하도록 유도한다.[32]

배출권 거래제에서 허가서는 시스템 내에서 충분한 수의 허가서를 보유해야 하는 배출자에 의해 거래될 수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사설 중개업체와 같은 다른 참여자의 거래 허용이 허가 가격 변동에 대한 시스템 내의 더 나은 위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35]

배출권 거래 제도를 도입하면, 감축하기 쉬운 국가나 기업은 탄소 배출권을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감축에 대한 인센티브가 생겨난다. 이처럼 시장 원리를 활용하여 환경 부하를 줄이는 수법을 경제적 수단이라고 한다.

4. 국내외 배출권 거래 현황

배출권 거래제는 시장 원리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 배출량을 줄이는 제도이다. 각 기업은 배출 허용량을 할당받고, 남거나 부족한 양은 다른 기업과 거래할 수 있다.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고 있다.


  • 유럽 연합 (EU)은 2005년부터 유럽 연합 배출권 거래제 (EU ETS)를 운영하고 있다. EU ETS는 교토 의정서의 공동 달성 조항을 적용하여, 유럽 연합 배출권(European Union Allowance, EUA)이라는 거래 단위를 사용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은 2017년에 세계 최대 규모의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을 চালু했다.[90][91]
  • 미국은 주(州) 단위로 다양한 배출권 거래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주와 캐나다 퀘벡주는 시스템을 연결하여 운영하고 있다.[87]
  • 영국, 호주, 싱가포르 등도 독자적인 배출권 거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1990년대부터 미국에서는 황산화물 배출권 거래가 이루어져 대기 오염산성비 감소에 기여했다.

4. 1. 국제 배출권 거래

교토 의정서 제17조와 마라케시 합의에서는 부속서 I 당사국 (교토 의정서에 서명 및 체결을 한 국가 중 *가 붙은 국가) 간에 탄소 크레딧 (Carbon Credit) 거래를 허용하고 있다.

탄소 크레딧은 초기 할당량 (Assigned Amount Unit, AAU), 흡수량 (Removal Unit, RMU), 인증 배출 감축량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CER), 배출 감축 유닛 (Emission Reduction Units, ERU)의 네 종류로 나뉜다. 이 중 탄소 상쇄 등에 사용되는 인증 배출 감축량 (CER)은 교토 의정서에 규정된 청정 개발 체제 (CDM)에 따라 개발도상국의 온실 가스 감축 사업에 기술·자금을 지원하여 얻어지는 유엔 인증 크레딧이다. 인증은 제3자 인증 기관이 실시한다.

부속서 I 당사국이나 그 국내 기업은 배출 할당량을 배분받는다. 탄소 크레딧을 포함한 최종 배출량이 배분된 할당량보다 적은 국가나 기업은, 초과하는 국가나 기업에게 배출 할당량을 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국내(역내) 배출권 거래에도 활용된다. EU 역내에서는 덴마크, 영국, 독일 등이 국내 배출권 거래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2005년 1월에는 EU ETS(The EU Emissions Trading Scheme)라는 EU 역내 공통 거래 시장이 창설되었다.[86]

유럽 연합 (EU)은 2005년 1월부터 유럽 연합 배출권 거래제 (EU ETS)를 시작했다. EU는 교토 의정서의 공동 달성 조항을 적용하여, 역내 각국에 배출권을 재분배하고 유럽 연합 배출권(European Union Allowance, EUA)이라는 거래 단위를 사용하는 독자적인 배출권 거래 시장을 만들었다. EU ETS는 조기에 제도 정비가 이루어져 배출권 거래가 비교적 용이한 체계로 평가받는다.

중화인민공화국은 2017년 12월에 세계 최대 배출권 거래 시장인 Chinese national carbon trading scheme|중국 전국 탄소 배출권 거래 시장영어을 창설했다고 발표했다.[90][91] 중국은 EU ETS의 느슨한 총 배출량 설정 실패를 교훈 삼아 엄격한 관리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92]

4. 2. 한국의 배출권 거래 시장

경제산업성, 환경성, 농림수산성이 협력하여 운영하는 자율 참여형 국내 배출권 거래 제도인 J-크레딧 제도가 사용 중이며, 본격적인 국내 시장 창설이 검토되고 있다.[93] 국내 배출권 거래는 국제적인 거래에 비해 절차가 간소화된 경우가 많다.

4. 3. 기타 국가

미국은 주(州) 단위로 다양한 배출권 거래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주와 캐나다 퀘벡주는 시스템을 연결하여 운영하고 있다.[87] 2014년,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와 캐나다의 퀘벡주는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연결했다. 2015년에는 온타리오주와 매니토바주가 퀘벡과 캘리포니아 간의 연결 시스템에 합류하기로 합의했다. 2017년 9월 22일, 퀘벡과 온타리오의 수상과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이러한 연계를 공식적으로 확립하는 협정에 서명했다.[86]

영국, 호주, 싱가포르 등도 독자적인 배출권 거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1990년대 전반부터 미국에서 황산화물 배출권 거래가 이루어졌다. 이는 국내 배출권 거래 제도이다. 대기 오염이나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황산화물(SOx)에 배출량을 할당한 후, 할당량을 밑도는 자가 감축분에 부가가치를 붙여 할당량을 초과한 자와 거래하는 방식으로, 황산화물 배출량 감축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미국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토 의정서의 제정 협상 당시에도 배출 거래 제도의 도입을 강력하게 요구한 바 있다. 미국은 그 후 교토 의정서에서 탈퇴했지만, 배출 거래 제도는 교토 메커니즘으로 편입되었다.

EU 역내에서는 덴마크, 영국, 독일 등이 국내 배출 거래 제도를 두고 있으며, 2005년 1월에는 EU 역내에서 공통 거래 시장으로 기능하는 EU ETS(The EU Emissions Trading Scheme)가 창설되었다.

또한, 연방 정부가 교토 의정서에서 탈퇴한 미국에서도 주 단위로 교토 의정서를 비준하는 등 기후 변화 대책에 임하는 주가 적지 않으며, 그 일환으로 배출 거래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북동부 11개 주(코네티컷, 메인, 매사추세츠, 뉴햄프셔, 로드아일랜드, 버몬트, 델라웨어, 뉴저지, 펜실베이니아, 메릴랜드 및 뉴욕주)와 서부 5개 주(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애리조나, 뉴멕시코) 등에서 실제로 검토 또는 결정되었다.

이에 더해, 주별 대응이 선행되는 것에 위기감을 느낀 산업계에서도 독자적인 노력을 시작하게 되었고, 2007년에는 기업 단체 (USCAP, 미국 기후 행동 파트너십)을 설립하여, 연방 전체에 적용되는 배출 거래 제도의 제정에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5. 비판 및 과제

배출권 거래제는 여러 비판과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 배출 할당량 설정의 어려움이다. 배출권 거래제의 효과는 배출 할당량 설정에 크게 좌우되는데,[88] 할당량이 너무 느슨하면 감축 노력을 저해하고, 너무 엄격하면 기업에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다.[88]

둘째, '핫 에어(Hot Air)' 문제이다. 경제 침체 등으로 인해 남는 배출 할당량을 매입하여 실제 배출량을 늘리는 것은 지구 전체의 배출량 감축 노력을 저해할 수 있다.[85]

셋째, 그린 투자 스킴(Green Investment Scheme, GIS)의 이권 개입 가능성이다. GIS는 배출권 거래를 통해 얻은 이익을 환경 문제 대책에 사용하도록 하는 제도이지만,[1] 상세 규정이 각국에 위임되어 있어 이권을 낳는 투자가 될 우려가 있다.[1]

넷째, 형평성 문제이다. 배출권 거래제가 저소득층에게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83]

5. 1. 배출 할당량 설정의 어려움

배출권 거래제의 효과는 배출 할당량 설정에 크게 좌우된다.[88] 배출 할당량을 너무 느슨하게 설정하면, 해당 국가는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배출량을 배출 할당량 이하로 줄일 수 있고, 감축한 배출량을 다른 국가에 판매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배출 할당량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많아져 시장 가격이 하락하면, 감축 노력을 하지 않는 편이 이득이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배출 할당량을 너무 엄격하게 설정하면, 많은 노력과 비용으로 배출량을 줄여야 하며, 배출량이 배출 할당량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로 배출량을 구매하는 비용이 발생한다. 이는 국내 배출권 거래 제도에서도 마찬가지로 기업이나 단체에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다.[88]

이처럼 배출 할당량 설정 정도에 따라 노력과 비용에 큰 차이가 있으므로, 국가 간, 단체·기업 간 배출 할당량 설정의 엄격함에 차이가 있을수록 불공평함이 커진다. 배출 할당량을 느슨하게 설정하도록 정치적·경제적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배출 할당량을 조금이라도 느슨하게 설정하려는 국가(기업·단체)에 의해 배출 할당량 설정 및 관련 논의가 정체될 우려도 있어, 공정한 배출 할당량 설정이 필요하다. 전년도 배출량을 기준으로 배출량을 설정하면, 지금까지 배출량 감축에 노력해 온 기업이 손해를 볼 수 있다. 한편, 미래의 경제 성장의 불확실성을 없앨 수 없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의 불공평함은 피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5. 2. 핫 에어 (Hot Air) 문제

경제 침체 등으로 인해 남는 배출 할당량(핫 에어)을 매입하여 실제 배출량을 늘리는 것은 지구 전체의 배출량 감축 노력을 저해할 수 있다.[85] 원래 배출 할당량에 여유가 있는 국가·기업이나, 경제가 후퇴하고 있는 국가·기업의 남는 배출 할당량(핫 에어)을 매입하여 현재보다 더 배출함으로써, 본래 감소해야 할 지구 전체의 배출량이 오히려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한 숫자 맞추기만을 위한 배출 거래에 의존하는 것은 문제이며, 감축 노력을 저해하지 않도록 각 국가나 기업에 대해 배출 거래량의 상한선이 정해져 있다.[88]

5. 3. 그린 투자 스킴 (Green Investment Scheme, GIS)

그린 투자 스킴(Green Investment Scheme, GIS)은 배출 거래를 통해 배출량을 매각한 국가가 얻는 매각 이익의 사용처를 환경 문제 대책(그린 투자)으로 한정하는 제도이다.[1]

이 경우 그린 투자는 온실 가스 배출량 감축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대한 투자가 중심이 된다. 다만, 상세한 규정은 각국에 위임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권을 구매한 국가의 기업이 관여하여 이권을 낳는 투자가 될 우려가 있어 "조건부" 투자라는 비판이 있다.[1]

배출량 감축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 국가는 GIS를 통해 향후 배출량 감축에 드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반면, 배출량 감축에 비용과 노력이 별로 들지 않은 국가는 GIS로 매각 이익의 사용처를 한정함으로써, 용이한 배출 감축과 배출 거래를 통해 쉽게 이익을 얻는 상황이 개선됨과 동시에, 추가적인 배출량 감축을 촉진한다.[1]

교토 의정서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제도이며, 상세한 규정은 각국의 판단에 위임되어 있다.[1]

5. 4. 형평성 문제

배출권 거래제는 저소득층에게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미국 의회 예산처(CBO)는 미국 청정 에너지 및 안보 법안이 저소득층 소비자에게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권고한 바 있다.[83] 미국 북동부 지역의 배출권 거래 제도는 저소득 가구가 새로운 세금의 대부분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었다.[84]

참조

[1] 논문 Experience with Market-Based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s https://media.rff.or[...] Resources for the Future 2001-11-00
[2] 뉴스 Can markets reduce pollution in India? https://www.economis[...]
[3] 웹사이트 Allowance Trading http://www.epa.gov/a[...] U.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4] 논문 Linking Tradable Permit Systems: A Key Element of Emerging International Climate Policy Architecture https://lawcat.berke[...]
[5] 논문 The Tradable-Permits Approach to Protecting the Commons: Lessons for Climate Change
[6] 웹사이트 Experience with Market-Based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s https://www.scienced[...] Elsevier 2001-11-01
[7] 논문 Constraining or Enabling Green Capability Development? How Policy Uncertainty Affects Organizational Responses to Flexible Environmental Regulations http://wrap.warwick.[...] 2016-00-00
[8] 웹사이트 Cap and Trade 101 http://www.americanp[...]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2008-01-16
[9] 서적 Economics, ethics and the environment Cavendish
[10] 간행물 Emissions trading schemes around the world http://parlinfo.aph.[...] Parliament of Australia 2013-00-00
[11] 웹사이트 Cap and Trade 101 http://www.epa.gov/c[...]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2]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13] 웹사이트 USEPA's Clean Air Markets web site http://www.epa.gov/a[...] US EPA
[14] 서적 An Economic Analysis of the Control of Sulphur Oxides Air Pollution Ernst and Ernst
[15] 서적 A Cost-Effectiveness Study of Particulate and SOx Emission Control in the New York Metropolitan Area NTIS
[16] 서적 A Cost-Effectiveness Study of Air Pollution Abatement in the Greater Kansas City Area NTIS
[17] 서적 A Cost-effectiveness Study of Air Pollution Abatement in the National Capital Area NAPCA
[18] 서적 Applications of Cost-Effectiveness Analysis to Air Pollution Control DHEW
[19] 논문 A Simulation Approach to Air Pollution Abatement Program Planning
[20] 서적 A Survey of Air Pollution Control Models Ann Arbor Science Publishers
[21] 논문 Solving the Air Pollution Control Puzzle
[22] 서적 The Economics of Clean Air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3] 논문 Innovation processes in governance: the development of emissions trading as a new policy instrument
[24] 논문 The Problem of Social Cost
[25] 서적 The Structuring of Atmospheric Pollution Control Systems W. W. Norton & Co.
[26] 논문 Land, Water, and Ownership
[27] 논문 Markets in Licenses and Efficient Pollution Control Programs 1972-12-00
[28] 웹사이트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 Review of the First International Offset Program http://www.c2es.org/[...] Pew Center on Global Climate Change 2011-03-00
[29] 웹사이트 The Political History of Cap and Trade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Magazine 2009-08-00
[30] 웹사이트 10.4.5 Who Should Pay for the Response? Mitigation by Countries and Sectors: Equity and Cost-effectiveness Considerations. In (book chapter): Decision-making Frameworks. In: Climate Change 2001: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 Metz et al. Eds.) http://www.grida.no/[...] Print ver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This version: GRID-Arendal website
[31] 웹사이트 Economic Instruments and Environmental Policy http://www.dieterhel[...]
[32] 웹사이트 6.3.1 International Emissions Trading. In (book chapter): 6. Policies, Measures, and Instruments. In: Climate Change 2001: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 Metz et al. Eds.) http://www.grida.no/[...] Print ver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This version: GRID-Arendal website
[33] 서적 Climate Change 1995: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34] 웹사이트 2.6.5 Economic efficiency and eventual trade-offs with equity. In (book chapter): Framing issues. In: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B. Metz et al. Eds.) http://www.ipcc.ch/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35] 웹사이트 Climate Change 2001: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www.grida.no/[...] Print ver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This version: GRID-Arendal website
[36] 웹사이트 Fiscal Implications of Climate Change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Fiscal Affairs Department 2008-03-01
[37] 논문 Framing issues. http://www.ipcc.ch/p[...]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38] 웹사이트 State and Provincial Efforts to Put a Price on Greenhouse Gas Emissions, with Implications for Energy Efficiency https://aceee.org/wh[...] 2019-01-02
[39] 논문 Climate Change 1995: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of Climate Change https://archive.org/[...] This version: Printed b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PDF version: IPCC website
[40] 웹사이트 To Tax or Not to Tax: Alternative Approaches to Slowing Global Warming http://www.er.uqam.c[...]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Garnaut Climate Change Review http://www.garnaut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학술지 What Can We Learn from the Grand Policy Experiment? Lessons from {{chem|SO|2}} Allowance Trading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43] 서적 Blue Skies, Green Politics: the Clean Air Act of 1990 Congressional Quarterly Inc.
[44] 서적 Any way you slice i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rationing https://thenewpress.[...] New Press Books
[45] 학술지 A case study in pollution markets: dismal science US. Dismal reality
[46] 웹사이트 Estimating Offset Supply in a Cap-and-Trade Program http://www.nationala[...]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0-04-16
[47] 뉴스 Map: Pollution hotspots http://news.bbc.co.u[...] BBC News 2004-12-13
[48] 웹사이트 Chicago Climate Exchange prices http://www.chicagocl[...] Chicagoclimatex.com 2009-08-04
[49] 학술지 Prices vs. Quantities 2019-10-01
[50] 학술지 The safety valve and climate policy https://dspace.mit.e[...] 2004-03-01
[51] 웹사이트 Cap and Trade: Key Terms Glossary http://www.c2es.org/[...] Center for Climate and Energy Solutions 2011-01-01
[52] 웹사이트 Evaluating Carbon Offsets from Forestry and Energy Projects: How Do They Compare? http://hdl.handle.ne[...] World Bank
[53] 서적 Public Finance McGraw-Hill Irwin
[54] 서적 Carbon Tax and Cap-and-trade Tools : Market-based Approaches for Controlling Greenhouse Gase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55] 학술지 carBon tax vS. cap and trade http://www.sightline[...] 2009-07-01
[56] 웹사이트 The Language of Climate Change Policy http://www.ucl.ac.uk[...]
[57] 학술지 Effectiveness and equity implications of carbon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construction industry Elsevier Ltd.
[58] 웹사이트 Acid Rain Program 2007 Progress Report http://www.epa.gov/a[...] US EPA 2009-01-01
[59] 학술지 Sulfur dioxide control by electric utilities: What are the gains from trade? http://ageconsearch.[...]
[60] 웹사이트 Cross-State Air Pollution Rule (CSAPR) http://www.epa.gov/c[...] United State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2011-07-09
[61] 웹사이트 NOx Budget Trading Program https://www.epa.go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62] 웹사이트 Ozone Fact Sheet https://www.epa.go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63] 웹사이트 BGC Environmental Brokerage Service {{!}} Environment {{!}} Clean Air Interstate Rule http://www.bgcebs.co[...]
[64] 웹사이트 Cap and Trade http://www.epa.gov/c[...]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65] 학술지 Defensive Investments and the Demand for Air Quality: Evidence from the NOx Budget Program 2017-01-01
[66] 웹사이트 Volatile Organic Compounds' Impact on Indoor Air Quality {{!}} US EPA https://www.epa.gov/[...] 2014-08-18
[67] 웹사이트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Commonly Used Products https://www.health.n[...]
[68] 웹사이트 Chapter 1 -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https://water.usgs.g[...]
[69] 웹사이트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Your Home - EH: Minnesota Department of Health http://www.health.st[...]
[70] 뉴스 China Considers Tradable Pollution-Rights Permits https://www.washingt[...] 2006-03-29
[71] 서적 Greening East Asia: The Rise of the Eco-Developmental Stat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0
[72] 학술지 Can China's Industrial SO2 Emissions Trading Pilot Scheme Reduce Pollution Abatement Costs? 2014
[73] 뉴스 China considers national pollution permit trading https://www.under2co[...] 2018-09-08
[74] 서적 Cooperating for the Climate: Learning from International Partnerships in China's Clean Energy Sector MIT Press 2023
[75] 학술지 The effectiveness of China's regional carbon market pilots in reducing firm emissions 2021-12-28
[76] 웹사이트 Linking Emissions Trading Systems: A Summary of Current Research https://icapcarbonac[...] ICAP 2015
[77] 논문 Linking by Degrees: Incremental Alignment of Cap-and-Trade Markets 2013
[78] 논문 To link or not to link: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linking cap-and-trade systems 2009
[79] 간행물 Linkag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rading Systems - Learning from Experience Discussion Paper Resources For The Future 2013
[80] 간행물 Linking emissions trading systems The House of Commons Energy and Climate Committee 2015
[81] 뉴스 Quebec, Ontario, Manitoba sign agreement to link cap-and-trade systems http://www.cbc.ca/ne[...] CBC News 2015-12-07
[82] 웹사이트 California-Ontario-Québec Agreement on the Harmonization and Integration of their Cap-and-Trade Programs https://www.arb.ca.g[...] Government of California 2017-11-14
[83] 웹사이트 Senate can strengthen climate legislation by reducing corporate welfare and boosting true consumer relief http://www.cbpp.org/[...] Centre for Budget and Policy Priorities 2009-07-10
[84] 웹사이트 Rising gas prices are fueling opposition to Transportation Climate Initiative https://ctmirror.org[...] 2021-11-17
[85] 서적 Climate Change and European Emissions Trading: Lessons for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23-11-30
[86] 웹사이트 Environment - Climate Change - Emission Trading Scheme http://ec.europa.eu/[...]
[87] 서적 脱炭素社会と排出量取引―国内排出量取引を中心としたポリシー・ミックス提案 日本評論社 2007
[88] 뉴스 排出取引 削減に結びつかず NHK 2008-04-19
[89] 웹사이트 http://www.sojitz.co[...]
[90] 뉴스 中国がCO2排出量取引市場を設立 EU上回り世界最大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7-12-19
[91] 뉴스 中国、脱石炭へ排出量取引 ガス転換を後押し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2-19
[92] 뉴스 中国はいかにして、CO2排出量取引市場を作ったか? https://www.afpbb.co[...] AFPBB 2017-12-22
[93] 웹사이트 J-クレジット制度の概要 http://japancredit.g[...] 経済産業省
[94] 뉴스 친환경이 경쟁력이다 LG상사 서울경제신문 2007-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